무용접 내진과 내풍압이 강화된 외장재 융복합시스템
구성







특징
- 무용접 시공
- 내진 성능 강화
- 내풍압 성능
- 다양한 외장재 적용
-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
무용접 시공
기존 외장재 시공 방식에서 흔히 사용되던 용접 대신 볼트 접합 등 기계적인 방식으로 고정합니다. 이는 화재 발생 위험을 줄이고, 숙련된 용접공 없이도 일반 작업자가 시공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하며,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는 데 유리합니다. 또한, 현장 상황에 따라 일부 구간에만 최소한의 용접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


내진 성능 강화
지진 발생 시 건축물의 외벽이 탈락하여 발생하는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내진 성능을 크게 강화했습니다. 특수 설계된 지지 프레임, 회오리 볼트, 고정 클립 등을
사용하여 지진 충격에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합니다. 일부 시스템은 규모 7, 진도 8 수준의 내진 성능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인공지진파 시험기관최대치 1g
층간변위 +-150mm




내풍압 성능 강화
강풍에 의해 외장재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내풍압 성능도 강화되었습니다. 이는 높은 건물이나 해안가 등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에 특히 중요합니다. 파괴시험 부압 8,580Pa (약118m/s) 내풍압 성능을 갖는 제품도 개발되어 있습니다.

다양한 외장재 적용
건물 사용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외장재를 무용접 내진내풍압 성능으로 사용가능 (세라믹박판, 금속제(AL 및 복합패널))

친환경 및 지속가능성
무용접 시공으로 인한 탄소 배출 저감 효과와 친환경 외장재 사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. 이는 ESG 경영 및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데도 기여합니다.
구분 | 당사 무용접 내진내풍압 | 일반 몰딩 피스타입 |
---|---|---|
현장용접에 의한 화재 발생 위험 | 무용접으로 안전 | 화기감시자 등 화재관리비용 및 관리 철저 |
피스 및 용접부위 부식에 의한 외장재 탈락 |
무용접 볼트방식으로 안전 | 주기적인 점검관리필요, 특히 시공시 철저한 방수처리 필요 |
진동 및 충격에 의한 피스풀림에 의한 외장재 탈락 |
내진성능 (인공지진파, 층간변위 시험기관 최대치) | 주기적인 점검관리필요 |
강풍에 의한 외장재 탈락 | 내풍압 (부압, 8,580Pa), 약 118m/s, 태풍에도 안전 보장 | 3,600Pa(400m/s)로 해안지역 고층 건물이나 도심 빌딩풍에 의한 강풍에 의한 탈락 위험 |
시공성 | 숙련된 용접공 없이도 일반 작업자가 시공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하며,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는데 유리 단순 클립 고정 방식과 슬라이딩 홈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시공 편의성과 2인 1조 |
용접 숙련공, 패널 설치시 3인 1조 |
수선 및 유지보수 | 단순 클립의 볼트교환 | 300mm 간격 피스 해체 후 재체결 |